컨텐츠와 배급의 언번들링(1): 뉴스, 음악의 다음 차례는 콘솔게임과 TV일까?

컨텐츠를 가진 자가 그 컨텐츠의 배급까지 담당하며, 밸류 체인에서 발생하는 이익의 다수를 차지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호시절이 지나가면서, 컨텐츠 기업들은 배급권을 급속히 잃었습니다. 배급을 맡은 ICT 사업자들이 새로운 권력을 부립니다. 하지만 과연 그 컨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은 무슨 이익을 얻은 것일까요? 더 저렴한 가격? 더 매끄러운 구매? 더 만족스러운 경험? 더 수준높아진 컨텐츠? 뉴스와 음악에서 이미 자명한 컨텐츠와 … 컨텐츠와 배급의 언번들링(1): 뉴스, 음악의 다음 차례는 콘솔게임과 TV일까? 더보기

iTunes U 독립 I 의미: 교수학습환경을 애플의 컨텐츠-디바이스 생태계와 긴밀히 결합하고, 근대교육의 시공간적 동기화를 해체하다

지난 1월 뉴욕에서 열린 애플의 교육 이벤트는 교육활동을 면밀히 지원하는 애플의 앱 3종을 소개하는 동시에, 기존의 애플의 교육시장에 대한 분산된 접근을 일관된 패키지로 묶어 소개하는 자리였습니다. 첫번째, iBooks 로 학생들에게 디지털 상호작용 교과서, 두번째, iBooks Author 로 디지털 교과서 자가출판, 마지막으로 iTunes U 를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출시한 것입니다. 디지털 교과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iBooks 와 iBooks … iTunes U 독립 I 의미: 교수학습환경을 애플의 컨텐츠-디바이스 생태계와 긴밀히 결합하고, 근대교육의 시공간적 동기화를 해체하다 더보기

대중음악 매체 변천사: 축음기, 라디오 방송, mp3, 그리고 다시 집단공연장의 원형으로

mp3 포맷으로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음원의 가치는 점점 하락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실명제를 도입해 불법 다운로드를 막아야 한다는 발상이 있는가 하면, 팬층을 확보하는 기회로 삼은 뒤 콘서트 비즈니스로 유입시켜 공연 수익으로 연결시키자는 발상이 있습니다. 문화 컨텐츠의 디지털화는 한계비용이 0으로 수렴하면서, 필연적으로 사용자들의 복제와 가치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대중음악이 발생하게 된 역사적 사건들을 되짚어 보며, … 대중음악 매체 변천사: 축음기, 라디오 방송, mp3, 그리고 다시 집단공연장의 원형으로 더보기

가상사회가 이끄는 새로운 문화공동체 – 이수만의 ‘버추얼 네이션’론의 상상력 유감

매경과 인터뷰한 이수만 SM 엔터테인먼트 회장의 [버추얼 네이션(virtual nation)]론에서 탄성과 안타까움을 동시에 느꼈기에 몇가지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우선, 기존의 가상의 커뮤니티에 적용되던 [버추얼 네이션]이라는 개념을 자신의 사업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사업의 미래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경영 전략의 매력적인 사례가 될 만 하다. 이런 참신한 적용에도 불구하고, 이 회장의 [버추얼 네이션]론이 지향하는 ‘네이션’과 그 네이션이 … 가상사회가 이끄는 새로운 문화공동체 – 이수만의 ‘버추얼 네이션’론의 상상력 유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