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4D(개발을 위한 정보통신 기술) 프로젝트를 현지 환경에 맞게 성공시키기

개발원조사업에서의 ICT(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을 두루 일컬어 ICT4D 라 칭합니다. 이에 대해 현재까지는 “ICT”, 즉 문제해결의 방안이 되는 기술 위주의 접근이 많았지만, 해결의 대상인 문제 자체와, 그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참여하는 현지 환경 등 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맨체스터 대학의 Richard Heeks 교수는 2009년의 연구논문인 The ICT4D 2.0 Manifesto 를 통해 전자를 “ICT4D 1.0″이라 칭하며, 기술을 개발 … ICT4D(개발을 위한 정보통신 기술) 프로젝트를 현지 환경에 맞게 성공시키기 더보기

구식 라디오 기술이 새 ICT 기술과 만나면: 아프리카 농업 캠페인 적용 사례

라디오를 “기술”이라고 부르는 것이 시대착오적으로 느껴질만큼, 라디오는 매우 익숙한 기술입니다. 굳이 칭하자면 ICT 기술의 원조 뻘인 브로드캐스팅 미디어 라디오가, 아프리카의 한 농업 캠페인에서 다른 ICT 기술들과 함께 유용한 역할을 했다는 소식 자체도 새로울 것은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ICT 기술과 같은 시대에 놓인 신기할 것 없는 구식 기술인 라디오가 의외로 아프리카의 사회-기술 환경에서 적합한 … 구식 라디오 기술이 새 ICT 기술과 만나면: 아프리카 농업 캠페인 적용 사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