봇은 반칙인가, 반칙이 아닌가: 생산성의 한계를 인정하느냐 극복하느냐?

로봇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일자리가 위협받는다는 소식이 알람처럼 계속 들려온다. 심지어 이은석 넥슨 코리아 디렉터에 따르면, 게임 작업장의 저임금 인부가 게임 내의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이제는 아예 저임금 인부를 대체하는 ‘봇’에 의해 일반 플레이어들이 더 크게 피해를 입는다고 한다. 참고 : NDC 2015 이은석 – pay-to-skip: 온라인 게임 속 로봇 경제와 내몰리는 인간 (2015/05/20) … 봇은 반칙인가, 반칙이 아닌가: 생산성의 한계를 인정하느냐 극복하느냐? 더보기

생산성의 도구 너머 공감의 도구: 존재를 전달하는 텔레프레즌스 로봇.

영상 통화가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을 더욱 실감나게 전해 주듯이, 텔레프레즌스(telepresence, 원격존재)는 생산성 도구로 기업활동에 도입되어 왔습니다. 텔레프레즌스는 “기존 비디오 컨퍼런스(영상 회의)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여 마치 앞에서 대면하여 회의하는듯 한 실감형/실물형 영상회의서비스” [1] 로 정의됩니다. 단순한 영상 뿐만 아니라, 촬영되는 대상의 움직임 등까지 전송되면서,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는 상대에게 더욱 몰입감을 제공해 주는 역할입니다. 한발 더 나아가, 텔레프레즌스 로봇은 개인의 … 생산성의 도구 너머 공감의 도구: 존재를 전달하는 텔레프레즌스 로봇. 더보기

구글 글래스 카메라, 이렇게 풀자(2) 사회적 연착륙하려면: 촬영중임을 주변이 알도록. 공적 장소에서는 공공기록이 필요한 곳에서만. 사적 장소에서는 글래스 에티켓을.

앞선 포스트에서는 구글 글래스 카메라의 혁신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와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실패를 짚어보았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이러한 명백한 위험성들을 최소화면서, 구글 글래스 카메라의 혁신성을 활용하는 방법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합니다. 두 가지의 기술적 제한, 공적 장소에서 한 가지의 강제 사항, 사적 장소의 특정 상황에서 여러 제안 사항을 차례대로 다뤄보겠습니다. 이전글 : 구글 글래스 카메라, 이것이 문제다(1) 카메라의 … 구글 글래스 카메라, 이렇게 풀자(2) 사회적 연착륙하려면: 촬영중임을 주변이 알도록. 공적 장소에서는 공공기록이 필요한 곳에서만. 사적 장소에서는 글래스 에티켓을. 더보기

구글 글래스 카메라, 이것이 문제다(1) 카메라의 혁신이 프라이버시 침해와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실패를 확대시킨다

구글 글래스 카메라의 혁신은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위험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구글 글래스 카메라의 혁신적 특징은 크게 2가지입니다. 먼저, 소형이고 음성으로 조작 가능하다는 점에서 편재형(Pervasive) 녹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인터넷 업로드를 편하게 하여, 사진과 영상을 공유하기가 한결 쉽습니다. 이런 혁신적인 카메라로서의 특징이, 오히려 시각적 기록물이 가지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적 위험요소의 발생범위와 빈도를 증가시키고, 파급속도와 … 구글 글래스 카메라, 이것이 문제다(1) 카메라의 혁신이 프라이버시 침해와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실패를 확대시킨다 더보기

무인운전차가 관련 산업 생태계에 미칠 영향: 승자와 패자들

무인운전차는 차량기술의 발전이기도 하지만, 기술-산업-사회 생태계의 관점에서 보면, 생태계 전체를 존재하게 한 각종 산업들을 재편시킬 만한 영향력이 있습니다. 그러한 영향력을 최대치로 계산하였을 때, 전체 생태계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 정리한 글이 있어 소개합니다. Google’s Trillion-Dollar Driverless Car — Part 2: The Ripple Effects – Forbes [UPDATE 2013/07/13] The Money Side of Driverless Cars – NYTimes.com 에서 참고한 내용을 … 무인운전차가 관련 산업 생태계에 미칠 영향: 승자와 패자들 더보기